중년 하안검, 눈 밑 지방재배치 재수술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다.
반복되는 재수술을 막기 위해 근본적인 해결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눈 밑 지방재배치 수술은 병원마다 다양한 수술 방법이 있습니다. 하안검 절개 또는 비절개를 통한 방법이 있습니다.
하안검을 절개하여 처진 피부를 잘라내고 재배치하는 방법이 있고, 결막을 이용한 비절개 방법이 있습니다.
물론 두 수술 모두 장단점이 있습니다.
비절개는 시아 확보가 불가능하여 실제로 지방층에 접근하기 힘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깊은 지방층까지 접근이 어려우므로 중년 이상이거나, 불룩함이 심하거나 처짐이 많이 진행된 경우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근본적인 재배치가 불가능하므로 일시적인 방법이며 추후 재수술로 연결되기도 합니다.

하안검 눈 밑 지방재배치 재수술
1. 수술 전
2. 수술 후 7일 경과
3. 수술 후 1개월 경과
비절개 재배치 경우 절개 흉터가 노출되지 않고 회복이 빠르고 일상생활 복귀가 빠르다는 큰 장점이 있어 남자분들이 많이 선호하는 수술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지방층에 접근하는 것이 아니므로 지방을 일부 제거하는 방법에 가까우며 처진 피부를 잘라내지 않으므로 추후 지방 부족으로 인한 눈 꺼짐과 다음 환자와 같이 늘어난 피부로 인하여 나이가 들어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재수술 경우 라면 반드시 절개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하안검 수술 후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하안검 퇴축을 들 수 있습니다.
단순한 하안검의 하향도 하안검 퇴축이라고 합니다. 하안검 이완 등으로 일어나기도 하고, 지나치게 피부나 안륜근을 제거한 경우 발생합니다.
피부를 많이 자르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격막 주위 염증으로 인한 구축, 혈종 발생 이후 수축이 생길 수 있으므로 철저한 예방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안구건조증이 생길 수 있으며 퇴축이 교정되면 기능은 다시 회복됩니다.
하안검 재수술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피부가 충분히 여유롭게 거상되는 것이며 피부가 다시 내려와 피부 부족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안구 돌출이 심한 경우 하안검 부작용이 생길 수 있습니다.
수술 후 처치
수술 후 하루 동안은 휴식을 취하고 머리를 45도 이상 높게 하고 차가운 압박을 대줍니다 처방받은 항생제와 안연고를 사용합니다.
필요시 인공눈물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잘 때 바르게 누운 상태에서 머리를 높게 하도록 합니다. 한쪽 방향으로 자는 것은 피하도록 합니다. 수술 후 당김이나 안구 건조증이 일시적으로 생길 수 있다.
안구 건조증이란 눈물 부족 현상으로 눈물 생산이 부족하거나 과다 증발로 인하여 생깁니다. 독서나 야간 운전이 힘들어지는 경우가 생길 수 있었고 안구 피로 눈물흘림 눈부심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특별한 이상이 없는 한 회복 후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기 때문에 너무 걱정 안 하셔도 됩니다.
재수술 시 하안검 이완이 있는 환자들은 정확성과 신중을 요해야 합니다.
합병증이 없이 최고의 결과를 얻기 위하여 하안검과 중안면의 해부학적 철저한 이해와 섬세한 파악과 정확성이 요구됩니다.